사회복지/사회복지조사론

논리적실증주의 논리적경험주의 비교

쏜라이프 2020. 4. 23. 18:40
반응형

 

 

1. 논리적 실증주의

 

1) 개념

 

논리적 실증주의는 콩트(A. Comte), 밀(J. S. Mill), 스펜서(H. Spencer) 등의 고전적 실증주의와 베이컨(F. Bacon)의 경험주의를 결합한 철학이다. 논리적 실증주의는 일반적인 진술과 명제는 경험적으로 검증될 때 의미가 있다고 주장한다. 콩트는 오직 자연과학에서 사용되는 실증적 연구방법이 인간과 사회현상에 대한 탐구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래야 한다고 믿었다.

 

실증주의는 경험적으로 관찰된 자료를 수량화하고 가능한 한 간결한 공식으로 이론을 구성함으로써 자연의 법칙을 묘사하고 설명한다. 실증주의는 일반적으로 초월적이고 형이상학적 사변을 배격하고 관찰이나 실험 등 객관적․과학적 방법으로 검증 가능한 지식만을 인정하는 인식론적․방법론적 태도를 견지한다.

 

*인간정신의 3단계 : 신학적 단계, 형이상학적 단계, 실증적 단계

 

-신학적 단계 : 신의 의지와 같은 초현실적인 것으로 어떤 현상을 설명하는 단계이다.

예) 홍수가 난 상황을 보고, 신이 노하셔서 홍수가 난거라고 하고 이런 문제가 신학적인 이유이지 과학적인 것은 아니다 라고 설명하는 것을 말한다.

 

-형이상학적 단계 : 현상이나 사물의 이치를 논리적 성찰로 설명하는 단계이다.

예) 음양오행설을 들 수가 있는 데, 음양오행설은 굉장히 과학적이며, 그 공식에 대입하면 똑같은 결과를 내며 논리적이다. 이렇게 현상이나 사물의 이치를 논리적 성찰로 설명하는 것을 말한다.

 

- 과학적 단계 : 현상을 경험적으로 실증하는 단계

 

- 현실세계에서 검증을 가능하게 하는 귀납법을 중용하게 된다.

 

 

 

2) 한계점

 

첫째, 한정된 사례의 경험적 증명만으로 일반적인 진리라고 주장하는 귀납법적 추론은 항상 진리라고 할 수 없다.

둘째, 관찰자의 주관이나 편견의 개입가능성으로 인해 측정의 오차가 수반된다.

 

즉, 과학의 발달로 이전의 진리라고 믿었던 것이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므로, 항상 진리라고는 할 수 없다. 그리고 누가 측정하느냐에 따라 측정의 오차가 수반될 수 있는 것이다.

 

 

 

 

 

 

 

2. 논리적 경험주의

 

1) 개념

 

영국의 철학자 흄(David Hume)은 “인간 오성의 탐구(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2006)에서 명제로 이루어진 연역적 사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지식과 경험적 사실을 귀납적으로 추론하여 얻게 되는 지식을 비교한 후, 두 추론양식을 조화롭게 적용함으로써 더욱 합리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관찰은 단지 논리의 출발점에 불과하고 과학의 이론은 확률적으로 검증되는 관찰(일반화)에 의해서만 정당화 될 수 있다. 연속적인 경험적 검증과정을 거쳐 진리로 발전된다.

 

즉, 논리의 실증주의는 내가 경험한 그 것을 검증했을 때 과학이라고 얘기했다면, 논리적 경험주의는 일반화에 의해서 정당화 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2) 한계점

 

첫째, 소수 사례에 대한 관찰에 의해서 논리적 판단을 행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둘째, 귀납적 논리의 가장 치명적인 문제점이라 할 수 있는 관찰이 선행이론에 의존한다는 점이다.

 

논리적 실증주의와 같이 이론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검증을 ‘다양한 상황’에서 ‘충분히 많이’받아야 하는데 사회과학 대상의 특성상 제약을 가지고 있다.

 

논리적 경험주의자들은 관찰언명(observation ststement)은 경험적 검증을 이끌어준다고 주장하였으나 실제로는 어떤 내용을 어떻게 관찰할 것인지에 대한 지침은 다분히 이론 의존적이다.

 

어떤 것이든 아무리 관찰한다 할지라도 결국에는 이론에 근거해서 관찰을 한다는 것이다. 자유로운 관찰이 아닌 이론에 의해 관찰을 하기 때문에 이것이 바로 논리적 경험주의의 한계이다.

 

※ 관찰언명(Observation Statment) : 무엇을 어떻게 관찰할 것인가에 대한 지침

 

셋째, 관찰수행자의 주관에 의해 측정의 오류를 배제할 수 없다.

 

관찰자가 어떤 대상이나 장면을 보게 될 때 그가 갖는 주관적인 경험은 망막에 맺힌 상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관찰자의 경험, 지식, 기대, 그리고 내적인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사람에 따라 자신이 가지고 있던 경험이나 지식, 기대, 내적인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이것이 오류가 되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