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노인복지론

우리나라 고령화 현상 그리고 미치는 영향

쏜라이프 2020. 3. 1. 22:34
반응형

노인

 

고령화란 나라 전체 인구에서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국제연합(UN)에서는 고령사회에 대한 정의를 어떻게 내렸는지 아래 알아보고자 한다.

 

 

*인구 고령화 정의(국제연합)

-연소 인구 사회 :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4% 미만일 경우

-성숙인 구 사회 :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미만일 경우

-고령화사회(aging) :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일 경우

-고령사회(age) :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 이상일 경우

-초고령 사회 :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일 경우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다.

한국의 고령화는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만큼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2016년 기준 82.4세이며,

남자가 79.3세, 여자가 85.4세로 6.1세 더 높았다.

 

 

인구 고령화는 개인 차원, 가족 차원, 사회적 차원, 교육적 차원, 문화적 차원, 정치적 차원, 사회복지 차원

영향을 미친다.

 

 

개인적 차원으로는 건강 악화, 가족으로부터의 수발 서비스 수급, 노후 생활의 경제적 문제, 여가선용과 역할 없는 수행, 배우자 상실과 고독, 소외의 영향을 받는다.

 

 

가족 차원은 가족 수발 짜와 수발 부담과 갈등, 의료비 부담 증가, 주거와 가족제도의 변화, 가족 외적 서비스 이용 증가, 배우자 상실과 고독, 소외가 있다.

 

 

사회적 차원의 영향은 노인 단독세대의 증가, 노동자의 고령화와 저출산의 영향으로 노동인력 부족, 공적연금 보험료 부담의 증가, 절대적 상대적 빈곤 노인에 대한 사회적 비용 부담 증가(국가 재정 증가), 노인의 다양한 서비스

수요에 응하기 위한 시장경제 서비스 발전, 저축률 감소와 경제 성장의 둔화, 사회체계의 근본적 변화 필요이다.

 

 

교육적 차원의 영향은 성인교육과 노인교육 필요성 증대, 노동자의 직업훈련 교육 필요성 증대, 지식정보화 사회 적응을 위한 교육(정보 수집, 기기 사용 등)이다.

 

 

문화적 차원의 영향은 새로운 노인문화 형성이 되고, 노인의 여가문화의 발전이다.

정치적 차원의 영향은 노인 개인과 단체의 정치 참여 증가와 노인 집단이 정치적 압력단체가 될 가능성이 있고, 사회 체계 변화에 대한 사회적 갈등 유발과 노인의 정치세력화이다.

 

 

사회복지 차원의 영향은 사회적 비용(연금, 의료비, 사회서비스 비용)의 증가, 사회복지제도와 관련 서비스 개선 필요, 노인의 사회참여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 필요, 가정 외적 서비스 이용 증가, 무장애의 물리적 환경 조성(주거 구조,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 다양한 일상생활 서비스 욕구 증대(쓰레기 처리, 교통문제, 건강증진 등)이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고령화사회로 진입되어 이를 해결해가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는 것이 시간문제이므로,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문제를 해결해가는 것이 시급할 것이다.

반응형